9월, 2020의 게시물 표시

국제화 관련 javascript Intl test 예제

experience 국제화 관련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뭔가 작업하다보면 가끔 보게되는....   그때마다 기존 스펙(?) 동작(?) 확인용 sample ​ https://codesandbox.io/s/intl-relativetimeformat-example-srjv1?file=/src/index.js

git 잘못 push된 tag 제거 방법

 experience git 사용중 누군가 잘못 push한 tag 발견.. 삭제하고 push를 해도 이용하다보면 계속해서 해당 태그가 살아남.. @.@   많이들 경험했을...ㅎㅎ ​  대략 정리하면, tag를 지우고 push해도 이전 remote에 올라가 있는 tag를 받은 사람이 그대로 tag까지 push해버리면 다시 생기게 됨.. ​  결국 해당 git remote를 참조하는 모든 유저의 tag에서 삭제하고 push해야함.. ​ ​  방법은 간단한 듯.   정상적인 tag로 remote를 만들어둔후, 문제의 유저들 로컬 태그 다 지우고, remote tag로 엎어치면 되는듯... ​ $ git tag -l | xargs git tag -d # remove all local tags $ git fetch -t # fetch remote tags ​ from : https://demisx.github.io/git/2014/11/02/git-prune-local-tags-dont-exist-remote.html

크롬(chrome)의 비디오(video) 자동재생(autoplay) 규칙(policy) - 소리(사운드, sound) 허용여부 등

experience video 태그를 자동재생하게 두었는데, 경우에 따라서 소리가 나거나 안나기도 하고, 자동재생이 되거나 안되기도 했던듯...  (예전의 기억이라 가물) ​ ​  원인을 찾아보니, 크롬에 자체 자동재생(autoplay) 룰이 있던 듯. ​ - muted면 허용 - 자동재생 + sound이면 아래의 경우 허용. * click, tap등 유저 동작에 의한 경우(?) * desktop이면 유저가 전에 sound와 함께 play한적있는 경우(?) * 유저가 모바일의 홈에 해당 site를 추가했거나, desktop에 PWA 으로 설치한 경우 ... ​ ​ from : https://developers.google.com/web/updates/2017/09/autoplay-policy-changes

노트북(랩탑, notebook, laptop) 에서 구동되는 javascript setTimeout 과 setInterval timer에 대해서.. (로그오프, 절전등)

experience electron으로 구현한 client 앱에서 background로 인증token 갱신 등의 작업을 setInterval을 이용해 구현함..  그런데, 갱신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를 역추적하다가... setTimeout과 setInterval의 timer 동작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 ​​ ​  대략 정리하면 해당 앱이 동작하는 OS 및 브라우저 등의 환경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는 듯.. ​ - 앱구동중 화면 덮기...  * setTimeout ** 노트북 모드(절전 모드, sleep 모드 등)에 따라서 설정한 time 이 지났을 때, 돌기도 안돌기도 함..    (setTimeout의 경우, 10초 설정 > 5초뒤 모니터 덮기 > 10분후 다시 on > 5초뒤 callback 동작 이런 경우도 존재..)   ** delay가 짧은 경우에는 바로 돌기도하는... ​ * setInterval ** 간단 테스트.. 결과..  예측 불가.. ** macOS의 경우 > 2시간 설정 > 30초 사용후 모니터 덮기 > ....(A) > 다음날 on  ( A 시점에 멈춘듯 하다가도 혼자 깨어나 timer가 돌기도 하는 것으로 보임.. @.@ ) ​ ​ 참조 : https://stackoverflow.com/a/6346917/14339016

피들러(fiddler)를 이용한 https reverse proxy 방법

experience 서비스워커(service worker)를 이용해 폰에 올려 웹앱 테스트를 하려는데, 웹앱 설치등등 서비스워커의 기능중 일부가 https가 아니면 동작을 안함..  테스트 목적이기에 https 사용하는 도메인이 있는 것도 아니라.. 방법을 찾다가 피들러를 이용. ​ ​ ​ 아래와 같이 설정하니 동작했던듯....   -------- onBeforeRequest 에서. ​ if (oSession.HostnameIs("a.weather.us") && oSession.oRequest.pipeClient.LocalPort == 443) { oSession.oRequest.headers.UriScheme = "http"; oSession.host = "localhost:8000"; } ​ !listen 443 a.weather.us -------- ​ ​ from : https://www.telerik.com/forums/fiddler-as-reverse-proxy-with-https ​ https://docs.telerik.com/fiddler/KnowledgeBase/QuickExec

node 에서 윈도우 os 버전 체크(os.release)시 조회되는 버전 목록

experience electron으로 개발중 윈도우 os버전에 따라 다르게 동작해야하는 니즈가 있어 os버전 조회가 필요..  os.release() 호출시 어떤 종류의 버전으로 리턴이 될지 궁금하여.. 검색. ​ 대략 아래와 같은듯. ​ Version major.minor  ------------------------------------------ -------------  Windows 10, Windows Server 2016 10.0 Windows 8.1, Windows Server 2012 R2 6.3 Windows 8, Windows Server 2012 6.2 Windows 7, Windows Server 2008 R2 6.1 Windows Vista, Windows Server 2008 6.0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 5.2 Windows Server 2003, Windows Home Server Windows XP 5.1 Windows 2000 5.0 ​ from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2524606/how-to-get-windows-version-using-node-js?noredirect=1&lq=1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nt/ns-winnt-osversioninfoexw#remarks

윈도우(windows)용 app 인증서 교체로 코드서명(codesign) 변경한 경우 스마트 스크린(smart screen) 에서 인식하지 못하는 이슈

이미지
experience electron으로 어플리케이션 개발중.. 윈도우 인증서 만료로 인증서 교체이후 설치시 smart screen에서 앱을 실행하면 위험에 노출된다고 나오는 현상이 발생.. ​ ​  comodo 인증서 사이트에 방법이 잘 설명되어 있는듯.. ​ - 간단히 5번 방법(EV인증서 적용)으로 해결 from :  https://kicassl.com/cstmrsuprt/faq/formFaqList.sg?faqSeq=3046

macOS 용 app 코드서명(codesign) 체크 방법

experience electron으로 macOS용 app 개발후 코드서명이 잘 되었는지 체크가 필요하여, 이를 체크할 needs가 생김..   (코드서명이나 app 빌드는 node module 중 하나를 이용했기에...   알아서 잘됐겠거니... 느낌..이지만...) ​ ​ 체크 방법은 codesign 및 spctl 사용.. ​ spctl --assess -vv /Path/To/Application.app codesign -dv --verbose=4 /Path/To/Application.app ​ ​ 설치된 경로로 지정...

교촌치킨 순살 메뉴에 붙은 (R) (S) 의미(뜻)

experience 교촌 치킨 순살 주문하려고 보니, 순살 메뉴 옆에 (R) 이나 (S) 가 적혀 있음..  언뜻보면 regular나 small 사이즈같이 보이기는하는데.... 이게 맞는지가 궁금.... ​ ​  교촌 사이트 들어가도 설명이 잘 안나와있음....   ​ 여기저기 검색해보니.... ​ 사이즈가 맞는듯... r은 regular, s는 small  ​ 순살이라 양이적다는 말들이 있어서 그런것은 아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