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certificate인 게시물 표시

mkcert로 생성한 local 인증서 외부(remote) client에서도 https로 접근가능하도록 설정하는 방법

experience local 전용으로 mkcert로 cert, key 파일 생성하여 https 개발중, 다른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해서 테스트해야 하는 니즈가 생김. ​  방법은 간단히 mkcert로 생성(?)된 root CA를 해당 client에 설치하면 됨. ​ mkcert -CAROOT 로 root파일 찾은뒤, 해당 파일 client로 복사후 설치. ​ mac의 경우에는 설치후, 해당 인증서 항상신뢰로 변경.. 그 이후부터는 chrome에서 접근 가능. ​ from : https://github.com/FiloSottile/mkcert#installing-the-ca-on-other-systems https://brunch.co.kr/@sangjinkang/47

웹서버(WAS) 종류별 SSL 인증관련 설정 예제

experience 주기적으로 2년 또는 1년에 한번씩 SSL인증서를 교체하거나 또는 프로젝트 초기 세팅시 SSL관련 설정을 종종해야하는데... 자주 설정하지 않다보니, 그때그때 이전 설정 보고 세팅하곤 함.. mozila쪽에 http 서버별 세팅하는 예제가 있어, 기록차 적어둠. ​ https://ssl-config.mozill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