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023의 게시물 표시

nextjs + typescript 개발중 dynamic import에서 TS2307 오류와 함께 module import가 실패하는 오류

experience 위와 같이 dynamic import 를 이용하려는데, TS2307 오류와 함께 동작을 안함.. ​  tsconfig의 moduleResolution을 node로 변경으로 해결.. module관련 오류가 있으면 moduleResolution을 node로 하라는 가이드도 존재한다는.. @.@   ​ ​ from : https://github.com/vercel/next.js/issues/3389

nextjs 로컬에서 ssl 로 개발시 hmr(hot module replacement) 동작을 위한 apache 설정 방법

experience nextjs로 프로젝트 개발시 로컬에서 ssl 설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어, apache로 ssl설정함(apache(reverse proxy) -> http -> nextjs) ​  hmr 동작을 위한 세팅도 필요하여 찾아보니, 아래와 같이 webpack-hmr도 함께 전달해주면 되는 듯. ​     ProxyPassMatch ^/(_next/webpack-hmr)$  ws://localhost:3000/$1 ​ from : https://github.com/vercel/next.js/issues/30491

웹서버(WAS) 종류별 SSL 인증관련 설정 예제

experience 주기적으로 2년 또는 1년에 한번씩 SSL인증서를 교체하거나 또는 프로젝트 초기 세팅시 SSL관련 설정을 종종해야하는데... 자주 설정하지 않다보니, 그때그때 이전 설정 보고 세팅하곤 함.. mozila쪽에 http 서버별 세팅하는 예제가 있어, 기록차 적어둠. ​ https://ssl-config.mozilla.org/

requirejs(AMD) 기반 프로젝트를 webpack으로 전환후 개발중, circular dependency가 발생하면 오류도 없이 동작을 하지 않는 오류 해결(?) 방법

experience requirejs 기반 오래된 프로젝트를 webpack으로 전환후 개발중 가끔 require cycle이 발생하면, 초기 빌드 타임이 아닌, 실행중에 멈추는 현상이 발생...      원인파악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어, 미리 detecting하는 방법 검색중, 빌드 과정에서 circular dependency를 체크해주는 plugin 발견.. ​   https://github.com/aackerman/circular-dependency-plugin  위 plugin이용하면 빌드(번들)시점에 미리 알수 있어 편리함..

윈도우(windows)에서 node기반 웹 프로젝트 개발시 발생하는 PhantomJS not found on PATH 오류관련

experience 이용중인 node 기반 웹 projectㅇ서 sass 관련 모듈을 이용중에 있었으나, 해당 모듈과 dependency가 있는 모듈들 설치 또는 실행(오래전 일이라 기억이.. 가물가물함.. ^^;) 중에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함.. ​ 주로 프로젝트 다시 설정을 하거나, 개발 머신 변경시 발생하곤 했음..  이용하던 sass모듈의 문제이긴 하나, 이미 오래전 부터 이용중이었던 모듈이라 중간에 교체가 어려움...  ​   기억으로는 이전 버전의 phantomjs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전 버전 구하기가 어려웠던듯... @.@   ​ 아래와 같이 설치하면 해결되어던 듯.. ​  https://github.com/Medium/phantomjs/releases/download/v2.1.1/phantomjs-2.1.1-windows.zip 다운 받아서,  ​ C:\Users\{현재사용자}\AppData\Local\Temp\phantomjs\phantomjs-2.1.1-windows.zip 에 넣고, 다시 npm 또는 yarn install 하면 되는듯. ​ 현재 사용자 폴더를 모르는 경우는 탐색기 주소창에 %APPDATA%를 입력하면, 해당 사용자 AppData\Roaming으로 접근됨.. 거기서 경로 일부 수정하면 됨. ​ from : https://github.com/dounai1306/dounai1306.github.io/issues/76 from : https://github.com/Medium/phantomjs/issues/722#issuecomment-356512458

electron의 BrowserWindow > 구글(google)로 로그인시 insecure browser라며 로그인이 안되는 이슈

experience BrowserWindow로 구글로 로그인을 지원하고 있었는데, 어느순간부터 위와 같은 오류와 함께 로그인이 안되는 현상 발생.. ​  구글쪽에서는 계정보호를 위해 로그인을 지원하는 브라우저를 특정하도록 변경됨.. https://support.google.com/accounts/answer/7675428?hl=en  단순 로그인만을 하는 BrowserWindow 기반이기에 해당 프로젝트 전반의 로그인 기반을 바꾸기엔 무리가 있어, 다른 방법은 없을까 찾아봄.. ​ 대략 userAgent에서 Electron과 Chrome 관련 text제거로 동작은 하도록 수정함.. 물론 추후 막힐 수 있으니, 정식 해법을 고려해야 함..ㅠ ​ from : https://github.com/RocketChat/Rocket.Chat.Electron/issues/1459#issuecomment-593119410

mac에 특정패키지(package) 설치시 발생하는 chown: /usr/local: Operation not permitted 오류 대처방법

experience mac에 xz 설치가 필요하여, 이것저것 필요한 패키지 설치.. rpm도 필요하여 rpm설치하려는데 위 오류와 함께 설치가 안됨. ​  찾아보니, Homebrew 지우고 다시 설치하면 된다는..  ​ 지우고 설치하게되면, 기존에 설치된 brew 패키지들 모두 지워질수 있으니. 현재 패키지 목록 저장하고, 다시 re-install하면 된다는.. ​ - uninstall /usr/bin/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uninstall)" ​ - re-instal /usr/bin/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 ​ 이후에는 기존 오류발생 안함.. ​ 예전에 발생했던 내용 기록이라... 현재의 macOS 버전에서는 재현되는지까지는 확실치 않음. ​ ​ from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6459152/cant-chown-usr-local-for-homebrew-in-mac-os-x-10-13-high-sierra from : https://macappstore.org/rpm/

디버깅(debug)용 git 성능 trace 방법(?)

experience git stash가 오래걸리기에, 원인 찾아보고자 검색하던 중 알게된 내용.. ​ 아래와 같이 입려하면, 대략 performance 정보를 주는 듯.. ​ git_trace_performance=true git stash list ​ ​ 오래전에 이를 바탕으로 detecting을 했어서 적어두었었는데, 현재는 저 결과를 가지고 어떻게 처리했었는지... 기억이... 잘 안남.. ^^;;  @.@   ​

크롬(chrome)에서만 LSEP 문자(character)

 experience  가끔 복사 & 붙여넣기로 작성된 웹페이지에 LSEP 문자가 보이는 현상이 발생.. ​  윈도우 크롬에서만 재현되던가 했던듯... ​ 원인은 줄바꿈에 해당하는 Line Separator 문자(U+2028)가 크롬에서 노출되는 현상이라는.. ​ 크롬에서만 감지하는 인쇄 문자로 font와도 연관이 있는듯.. LSEP를 표시하는 font라면 노출이 된다는...   마찬가지로 Paragraph Separator를 의미하는 PSEP(U+2029)도 노출되는 듯.. ​ \u2028 \u2029 를 적절히 replace 해주면 되는 듯.. ​ ​ from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9603446/why-is-this-lsep-symbol-showing-up-on-chrome-and-not-firefox-or-edge

윈도우(windows) 10, 11에서 여러(멀티) 파일들을 작성(생성)일자(시각) 순으로 파일명에 넘버링(numbering) 하는 방법

experience 이미지 파일 및 화면 캡쳐 파일들을 nas 에 올리려는데, nas에서는 주로 이름순으로 정렬해서 사용중이라..  파일명에 넘버링을 해서 업로드하기 위해 방법을 찾아봄. ​ ​ powershell을 이용하면 아래와 같이 가능함..  ​ - 특정 디렉토리에 해당 파일들을 넣어두고, 탐색기에서 shift + 우클릭 > 여기에 powershell 창 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