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Schedule 적용방법 및 fixedDelay와 fixedRate의 차이 (@Schedule 실행안될때, 동작안함 처리방법(?))
- 대충 @Schedule annotation으로 주기적 호출하도록 설정가능
* 단, scheduler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하는 듯.. 아래 처럼 등록하면 되는 듯...
<task:scheduler id="target" pool-size="10"/>
<task:annotation-driven scheduler="target"/>
* fixedDelay와 fixedRate차이
** fixedDealy : 이전 수행이 종료된 시점부터 delay후에 재호출
** fixedRate : 이전 수행이 시작된 시점부터 delay후에 재호출(동시에 여러개가 돌고 있을 가능성도 있는 듯...)
댓글
댓글 쓰기